결혼식 축의대는 결혼식에 참석한 하객들이 신랑 신부에게 전하는 축의금을 받고 식권, 답례품 등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결혼식장 입구(로비)에서 신랑 측과 신부 측으로 나뉘어 가족이나 친척, 가까운 지인들이 맡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과거와 다르게 반드시 남자가 축의대를 보는게 아니라 성별에 관계없이 여자도 축의대를 담당하게 됩니다.
결혼식 축의대 여자가 선다면?
과거에는 결혼식 축의대라는 공간이 손님을 맞이하고 인사하는 곳으로 여겨 집 안의 남자들이 축의대를 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세상이 계속해서 변하는만큼 요즘에는 남자든 여자든 관계 없이 축의대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축의대를 누가 서느냐보다는 축의대 운영을 얼마나 잘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아무도 누가 섰는지 관심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여자든 남자든 축의대는 누구나 볼 수 있으며 믿을만한 사람에게 맡기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축의대 역할 분배
축의대를 담당하게 되었다면 보통 2명이 관리하게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각각 역할을 명확하게 정하는 것입니다.
보통 한 명은 접수 담당자와 다른 한 명은 축의금 정리 담당자 역할을 맡게 됩니다.
접수담당 | 축의금 정리담당 |
하객 응대(질문) | 봉투 금액 확인 |
봉투 이름 확인 | 방명록 번호 기재 |
식권 배부(수량 관리) | 방명록 작성 |
감사 인사 전하기 | 축의금 보관 |
성별에 관계 없이 접수 담당자와 축의금 정리 담당자의 각각 역할을 숙지하여 축의대 역할을 수행해야합니다.
축의대 주의사항
축의대를 맡을 때는 큰 현금을 다루기 때문에 반드시 도난이나 분실에 주의해야합니다.
종종 축의대 사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축의대 사기 사례를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 식장을 사칭하면서 중간 정산을 위해 축의금 요청
- 금액을 잘못 냈다며 축의금을 돌려달라고하는 경우
- 적은 축의금을 내고 식권을 지나치게 많이 요구하는 경우
- 이미 계좌이체를 했다고 식권을 요구하는 경우
축의금은 한번 가방 안에 들어간 이상 그대로 신랑 신부에게 무조건 전달되어야합니다.
중간에 돈이 빠지는 일은 없으며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식이 끝난 뒤 신랑/신부에게 말하라고 해야합니다.
축의대 수고비
축의대 수고비는 주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축의대를 맡은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보통 축의대는 결혼식 당일 예식을 거의 보지 못하고 식사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수고가 따릅니다.
가까운 가족이나 친척인 경우에는 별도로 수고비를 지급하기보다는 식사를 대접하거나 다음에 대신 서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친구나 지인이 축의대를 맡은 경우에는 수고비(10만원~20만원)로 답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현금으로 수고비 답례하기가 곤란하거나 껄끄럽다면 상품권이나 좋은 선물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객이 많고 복잡한 결혼식에서 축의대를 맡아줬다면 최소한의 보답을 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결혼식 축의대 안내문 준비 방법 (꼭 들어가야하는 내용)
웨딩밴드 투어 장소별 장단점 비교 (종로/청담/백화점)